Surprise Me!

[김진이 간다]‘기름 덩어리’ 건강 위협하는 돼지껍데기의 비밀

2019-10-08 1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김진 기자 나와있습니다. 오늘은 어디에 다녀왔나요?<br><br> 술안주로 쫀득쫀득한 돼지 껍데기 찾는 분들 많으시죠. 그런데 최근에는 거의 손바닥 두께 정도 되는 두꺼운 껍데기를 파는 곳이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><br> 맞아요. 유행이에요.<br><br>드셔봤나요? 이렇게 두꺼운데, 건강에는 괜찮은지 취재해봤습니다.<br><br>김진 요즘 SNS 등에서 두께가 두꺼운 돼지 껍데기가 유행을 하고 있는데 보통 먹는 껍데기랑 너무 달라서 정체가 뭔지 궁금합니다. 현장 직접 한 번 가보겠습니다. 저와 함께 가보시죠.<br><br>김진 지금 제 앞에 두 종류의 껍데기가 있는데요 이쪽에 있는 게 보통의 돼지 껍데기입니다. 익숙하시죠? 그리고 그 옆에 있는 이게 와.. 육안으로 보기에도 확연히 두껍습니다. 요즘 SNS에서 유행하고 있는 두꺼운 껍데기입니다. 시루떡 같기도 하고 얼핏 보면. 상당히 두꺼운데, 자 과연 구웠을 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직접 한 번 구워보겠습니다.<br><br>김진 두꺼운 껍데기에서 기름이 많이 나오는데요? 얇은 껍데기에선 기름이 안 나오고 있어요. 이게 기존의 껍데기이고, 이게 요즘 유행하는 두꺼운 껍데기인데요. 보이시나요?<br><br>구운 후에도 두께 차이가 굉장히 많이 나죠?<br><br>그 맛은 어떻게 다를지 궁금해집니다. 직접 한 번 먹어봤는데요.<br><br>김진 기존 껍데기는 우리가 먹던 껍데기처럼 쫀득쫀득, 쫄깃쫄깃 그런데 두꺼운 껍데기는 입에 상당히 기름이 많이 묻어 나와서 <br> 고소하긴 하지만 훨씬 더 느끼해요. 왜 이렇게 요즘 두꺼운 껍데기가 그럼 인기인 걸까요?<br><br>SNS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한 껍데기 집. <br><br> 사진으로만 봐도 두께가 상당합니다.<br><br>실물이 궁금해서 한 번 찾아가봤습니다.<br><br>200그램 만 원. 결코 싸지 않은 가격입니다.<br><br>익히기 전의 껍데기 모습은 마치 새하얀 두부 덩어리 같습니다.<br><br>PD :  (일반적인) 껍데기랑 너무 다른 거 아니에요?<br>사장 : 이게 목하고 등지방 껍데기입니다.<br>PD : 그럼 안에가 다 지방이에요?<br>사장 : 네, 지방 중에 최상급. 그동안 드셨던 건 껍질이에요.<br><br>특별히 최상급 지방 부위만을 사용한다는 이곳. 얇은 껍질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지방입니다.<br><br>PD : 지방이라서 그런지 기름이 진짜 엄청 뚝뚝 떨어진다.<br> <br>사장 빠질 지방만 빠지고 나머지 먹는 것이기 때문에 굉장히 고소하죠. 아마 저희 껍데기가 지금 제일 두꺼울 겁니다.<br><br>그렇다면 정육업체들은 두꺼운 껍데기에 대해 뭐라고 얘기할까요?<br> 축산물 시장을 찾았습니다<br><br>PD : (지방) 붙여서도 주세요?<br>축산1 :그렇게는 안 주지<br>PD : 돼지 껍데기 두꺼운 것도 팔아요?<br>축산2 : 그건 못 먹는 거야<br>PD : 요새 (두꺼운 껍데기가) 잘 나가는 게 있다고.<br>축산3 : 기름 덩어리야. 먹으면 좋진 않거든 몸에. 기름이라..<br><br>축산물 시장에서는 지방층은 모두 제거한 얇은 껍데기만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.<br><br> 축산물 시장에서는 저렇게 못 먹는다고 하는데 왜 두꺼운 껍데기가 시중에서는 인기를 타게 된거죠?<br><br> 두꺼운 껍데기에는 지방이 붙어 있어서인지 더 부드럽고, 고소한 맛이 강하기도 했고요. 한편으로는 신기한 모양 때문에 SNS를 중심으로 입소문이 나고 있습니다.<br><br> 지방이 저렇게 많은데 건강에는 괜찮나요?<br><br> 우리 몸에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전문가에게 물어보았습니다.<br><br>교수 돼지 껍데기에 있는 포화지방산은 다른 부위보다 지방 함량이 높습니다. 지방을 과다 섭취하는 경우 비만이 될 수 있고<br> 심장병, 심혈관 질환인 심장마비, 뇌혈종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섭취 시 지방을 제거하시고 섭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<br><br> 돼지 껍데기에 붙어 있는 지방은 몸속에서 분해가 잘 안되고,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포화지방산입니다. 따라서 되도록 지방은 제거하신 후 드시는 것이 좋겠습니다.<br><br>고생하셨습니다. 지금까지 김진이 간다였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